-아야/-어야 grammar 정보 4가지(아야, 어야)

-아야/-어야 grammar 정보 4가지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오늘 이 글이 이 글을 보는 당신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아야/어야 grammar 정보 4가지

사전
-아야/-어야 grammar

1. -아야/어야 의미

문법의 앞에 오는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에 대해 꼭 필요한 조건임을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가) + -아야 + (나)

(가) : (나) 의 필수 조건. 필요한 조건입니다.

2. -아야/-어야 형태 정보

동사, 형용사, 명사와 함께 씁니다.

  1. 동사

ㅏ, ㅗ 모음 : -아야 -> 가다 : 가야

ㅏ, ㅗ 모음 X : -어야 -> 읽다 : 읽어야

하다 : -해야 -> 말하다 : 말해야

2. 형용사

ㅏ , ㅗ 모음 : -아야 -> 같다 : 같아야

ㅏ, ㅗ 모음 X : -어야 -> 넓다 : 넓어야

하다 : 해야 -> 유명하다 : 유명해야

3. 명사

받침 있으면 : 이어야 -> 학생 : 학생이어야

받침 없으면 : 여야 -> 친구 : 친구여야

3. -아야/-어야 예문

  • 가 : 난방기는 언제 가장 잘 팔려요?
  • 나 : 날씨가 추워야 많이 팔려요.
  • 외국인 등록증이 있어야 핸드폰을 개통할 수 있어요.
  • 여자 대학교는 여자여야 입학이 가능합니다.
  • 좋은 글을 많이 읽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어요.
  • 집이 깨끗해야 마음이 편안해요.
  • 물을 많이 마셔야 피부가 좋아져요.
  • 성격이 꼼꼼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 좋아하는 일을 해야 행복해요.

4. -아야/-어야 제약 정보

1. 명령형, 청유형을 쓰지 않습니다.

예) 좋아하는 일을 해야 실수를 줄여! (x) -> 시키는 말을 명령형이라고 합니다. 명령형은 쓸 수 없습니다.

예) 좋아하는 일을 해야 실수를 줄이자. (x) -> ~하자 ~할래? 등의 다른 사람에게 의견을 묻는 표현을 청유형이라고 합니다. 청유형을 쓸 수 없습니다.

다른 문법도 보고 가세요.

-(으)ㄹ 바에야 grammar 정보 4가지

-(으)ㄹ 바에야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