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는)다지요? -(이)라지요? grammar 정보 5가지

-(ㄴ/는)다지요? 표현은 내가 들은 내용 또는 사실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아래 부분을 확인하시고 문법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세요.

사전
-(ㄴ/는)다지요?

-(ㄴ/는)다지요? -(이)라지요? grammar 정보 5가지

1. -(ㄴ/는)다지요? 의미

이미 알고 있거나 들은 사실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즉, 내가 듣거나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한 번 다른 사람한테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을 때, 또는 정말인지 알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2. (ㄴ/는)다지요? -(이)라지요? 예문

  1. 한국 사람들은 김치 냉장고를 김치를 보관한다지요?
  2. 한국은 장마 기간에 굉장히 습하다지요?
  3.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한국의 관광지는 제주도라지요?
  4. 소풍에 비가 온다지요?
  5. 다음 달에 장마가 올 거라지요?
  6. 어제 그 지역에 화재가 났다지요?
  7. 이번 시험은 어려울 거라지요?
  8. 그 지역은 매운 음식이 발달했다지요?
  9. 어제 본 사람이 선생님이라지요?
  10. 늦게 오는 사람은 지각 처리된다지요?
  1. 김치 종류는 다양하다지요?
  2. 요즘은 한복을 특별한 날에만 입는다지요?
  3. 한국에는 24시간 영업하는 음식점이 많다지요?
  4. 한국의 여름은 굉장히 습하고 덥다지요?
  5. 한국의 사계절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지요?
  6. 케이팝이 전 세계에서 인기가 많다지요?
  7. 한국은 차례상에 차리는 음식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다지요?
  8. 다음 달에 수지 씨가 한국에서 전통 혼례를 올린다지요?
  9. 우기 씨가 유학 생활을 정리하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간다지요?
  10. 한국 사람들은 삼겹살을 자주 먹는다지요?

3. (ㄴ/는)다지요? 제약

(가) + -(ㄴ/는)다지요? 
(가) + -(이)라지요?

1. (가)에 쓰는 정보 : 들어서 확인하고 싶은 정보

2. 과거의 사실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았/었다지요?를 사용한다.

예) 과거에 한국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살았다고 들었는데 확인하고 싶다.

-> 과거에 한국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살았다지요?

3. 미래의 사실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으)ㄹ 거라지요? 를 사용한다.

예) 다음 달에 장마가 올 것이라고 들었다.

-> 다음 달에 장마가 올 거라지요?

4. 주어는 ‘나’가 오지 않는다.

예) 나는 지난 달에 외국에 갔다지요? (X) / 지은 씨가 지난 달에 외국에 갔다지요? (O)

4. -(ㄴ/는)다지요? 결합 형태

1. 동사와 결합할 때

1) 받침 있을 때 : -는다지요? 예) 먹다 : 먹는다지요?
2) 받침 없을 때 : -ㄴ다지요? 예) 가다 : 간다지요?

2. 형용사와 결합할 때

1) 받침 있을 때 : -다지요? 예) 있다 : 다지요?
2) 받침 없을 때 : -다지요? 예) 필요하다 : 필요하다지요?

3. 명사와 결합할 때

1) 받침 있을 때 : -이라지요? 예) 부산 : 부산이라지요?
2) 받침 없을 때 : -라지요? 예) 제주도 : 제주도라지요?

5. 유사 문법

-(ㄴ/는)다지요?-(ㄴ/는)다면서요?
들은 사실에 대해 확인할 때 사용한다.
상대방도 들어서 알고 있는 사실일 때 사용한다.

예) 가: 수지가 이번에도 1등했다지요?
나: 네. 대단해요.
(가, 나 모두 수지가 1등한 것을 들었다.)
상대방이 알고 모르는 것 상관없이 사용한다.

예) 가 : 수지가 이번에도 1등했다면서요?
나 : 그래요? 대단하네요.
(‘나’는 수지가 1등한 것을 모르고 있다.)

다른 문법도 확인해보세요.

📌 A/V-(으)느니 A/V-(으)느니 하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